개발을 하다 보면 로컬 환경, 개발환경, 운영환경 등 다양하게 구분하여 사용합니다. 이를 간단하게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application.properties의 경우도 동일한 방식으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1. application-{이름}.yml 만들어주기 예를 들어 로컬 환경이면 application-local.yml 실제 운영 환경이면 application-prod.yml 등 필요한 여러 방식들을 만들어 줍니다 2. 각 환경에 맞는 설정하기 공통적인 설정들은 application.yml에 모두 해주고 각 환경별로 다른 부분만 해당 파일에 설정을 해주시면 됩니다. 알아보기 쉽게 7777로 해봤습니다. 3. 사용할 환경 입력해주기 application.yml 에서 사용할 환경을 입력하고..
로컬 개발환경과 서버 환경을 따로 Profile을 설정해보자 프로젝트 폴더 내의 src/main/resources 에 보면 application.properties 라는 파일에서 Profile을 설정하는데 본인은 .yml 형식을 선호하므로 application.yml 형식으로 바꾸어 주었다. (뭐로 사용하든 관계없음) 사진과 같이 복사해서 2개의 파일을 더 만들어 준다. local 이라고 되어있는 파일에는 로컬 개발환경의 profile을 설정해주고 # 예시) 로컬 환경에서 사용하는 정보들은 application-local.yml 파일에 설정 spring: h2: console: enabled: true path: /h2 datasource: url: jdbc:h2:mem:test jpa: hibernat..